중국 한자 > 중국소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중국 한자

페이지 정보

본문

da42bee589b277fe5982ac317d422813_1727834079_0812.png
 

한자의 변천


고대 인류는 끈에 매듭을 묶어 기록을 남겼다. 

정보와 사상을 고정시킬 수 있는 기호 체계의 필요성이 생기면서 고대 중국인들은 그림 문자를 발명했다. 

전설에 따르면 황제의 신하 창힐이 새와 다른 동물의 발자국을 보고 문자를 창조했다고 하여 '조자성인'으로 추앙받는다.


한자의 조자법에는 상형, 지사, 회의, 형성의 네 가지가 있다. 

갑골문, 금문, 소전, 예서, 초서, 해서, 행서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한자 칠체(七体)라고 불리게 되었다.


진나라 시대의 《倉頡》, 《博學》, 《爰歷》에는 3300자, 

한나라 시대 《訓纂篇》에는 5340자, 허신(许慎)의 《說文解字》에는 9353자가 수록되었다. 

20세기 초에 출판된 《辭源》, 《辭海》는 한자를 정리하고 요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신중국 성립 후 상무인쇄관에서 출판한 《新华字典》에는 2만 자가 넘는 한자가 수록되었고, 

10여 차례의 수정을 거치면서 지금까지 세계 출판 역사상 가장 많이 발행된 사전이 되었다. 

1964년 중국 정부는 《簡化字總表》를 발표하여 한자를 간체자로 단순화하는 국가 표준을 제정했고, 한자는 번체자에서 간체자 시대로 접어들었다.


고고학적 발굴과 문헌 기록에 따르면, 

적어도 4천 년에서 5천 년 전에는 중국의 문자인 한자가 탄생하여 점차 성숙해졌다. 

한자 기원에 대한 역사는 기존의 고대 문헌 기록과 확인된 고고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볼 때 적어도 4천 년에서 5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자 기원의 역사는 곧 중국 고대 문명의 시작 역사이므로 일반적으로 우리는 중화 민족이 5천 년 문명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중국의 문자는 출현 이후 초기의 그림 문자, 갑골문, 고문,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그리고 인쇄술 발명 이후 인쇄 요구에 맞춰 점차 파생된 다양한 인쇄체 등 긴 발전 과정을 거쳤다. 

그중 갑골문은 중국에서 가장 초기의 정형화된 문자로 여겨진다.


da42bee589b277fe5982ac317d422813_1727834292_208.png
 

갑골문(甲骨文)


19세기 후반, 하남성 안양에서 농민들이 밭을 갈다 우연히 갑골 조각을 발견하여 용골로 팔았다. 

1899년 고문자학자인 유억이 다른 사람이 복용한 한약재 속에서 고문자가 새겨진 갑골을 발견하고 수집 연구를 시작했다.


갑골문은 상나라 후기에 거북 껍질이나 짐승 뼈에 쓰거나 새긴 문자로, 

내용은 대부분 '복사'이고 일부는 '기사'이다. 

당시 사람들은 불에 달궈진 갑골의 균열을 보고 길흉을 점쳤다. 

점을 치고 나면 점친 시간, 사람 이름, 질문한 내용, 점 결과, 

그리고 나중에 확인한 결과를 기록하여 독특한 특징을 가진 갑골문이 형성되었다.


갑골에 쓰인 문자는 칼로 새긴 것도 있고 주사나 먹으로 쓴 것도 있다. 

칼로 새긴 갑골문은 주사로 채워져 있기도 한데, 글씨체가 현재와 달라 알아보기 어렵다. 

현재까지 발견된 갑골문은 4천 개에서 5천 개 정도이며, 

문자학자와 고고학자들의 분석과 판단을 통해 2천 개 가까이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갑골문은 대부분 그림 문자에서 진화한 상형문자로, 

많은 글자가 복잡한 필획을 가지고 그림과 유사하며 이체자도 많다. 

이는 중국의 문자가 은상 시대에는 아직 통일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한편, 갑골문에는 이미 형성, 가차의 문자가 있어 문자 사용이 상당히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금문(金文)


갑골문 다음에 등장한 한자 서체는 금문이다. 

이 문자는 다양한 청동기 위에 주조되었기 때문에 금문이라고 불리며, 종정문 또는 청동기 명문이라고도 한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명문이 있는 청동기는 상나라 중기 이후의 것으로, 명문이 매우 간단하고 글자체가 갑골문과 비슷하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서주 시대의 청동기 명문이다. 

금문은 다양한 예기, 악기, 무기, 도량형기, 주화, 동경, 금속 인장 등에 새겨졌으며, 

특히 예기 위에 새겨진 글자가 가장 많다. 

다양한 기물에 새겨진 글자는 갑골문에 비해 길고 완전하며, 

글자 수가 적은 것은 수십 자, 많은 것은 수백 자에 이른다. 

예를 들어 서주 초기의 대우정(大盂鼎)에는 291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다.


대전과 소전(大篆和小篆)


전서는 대전과 소전으로 나뉘며, 한자 서체 발전사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소전은 대전에 비해 형태와 필획이 간략화되었고, 

글자 수는 증가했는데, 이는 시대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고문에서 대전으로, 대전에서 소전으로의 문자 변화는 중국 문자사에서 획기적인 의미를 가지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예서(隶书)


예서는 진나라 시대의 승묘(程邈)가 창작했다. 

승묘는 본래 진나라 현의 옥리였으나 진시황에게 죄를 지어 운양 옥에 갇혔다. 

그는 옥중에서 10년 동안 심혈을 기울여 소전을 개량하여 예서 3천 자를 만들어 진시황에게 바쳤고, 

진시황은 이를 채택하여 승묘를 어사로 임명했다. 

당시 사회가 발전하면서 정무가 복잡해지고 문서가 많아져 

소전만으로는 기록하기에 불편해졌기 때문에 

소전보다 더 간략하고 표준화된 문자가 절실히 필요했다. 

당시 사회의 요구에 따라 소전보다 훨씬 더 표준화된 새로운 글자체인 예서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da42bee589b277fe5982ac317d422813_1727834360_5691.png
 

해서(楷书 )


해서는 또한 진서, 정서, 금예(今隶)라고도 한다. 

해서의 '楷'는 법, 식, 모형을 의미한다. 

초서는 성급하고 대충 쓰는 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고, 해서는 그 반대이다.

비록 전서와 예서에도 초서체가 있었지만, 

여기서 말하는 해서는 독자적인 체계를 가지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해서'를 의미하며, 

오양순, 유공권 등의 비석에 새겨진 글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해서의 창시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위진남북조 시대 수백 년 동안의 글자는 예서의 팔분과 해서 필법이 혼재된 시기였다. 

비교적 일치하는 의견은 동한의 왕차중이 창시했다는 것이다. 

현존하는 실물 중에서는 위 시대 종요의 '賀克捷表'의 법도가 해서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다. 

종요는 중국 역사상 첫 해서 서예가로 평가받는다. 

오늘날의 해서는 필획이 단정하고 고대 예서의 방정함, 팔분의 강건함, 장초의 간결함 등에서 변화 발전하여 온 것이다.



 행서(行书)


행서는 楷书와 草书의 중간 형태로, 자유롭게 필획을 운용하는 서체입니다. 

후한 시대 穎川의 유덕승이 처음 만들었으며, 

정서를 간략하게 변형하여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진나라 이후로는 가장 많이 쓰이는 서체가 되었습니다.


 초서(草书)


초서는 篆书, 八分, 章草 등 다양한 고대 문자를 변형하여 만들어진 매우 빠르고 간략한 서체입니다. 

특히 章草를 기반으로 발전했으며, 빠르게 글을 써야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당나라 시대 장욱의 '狂草'처럼 매우 개성적인 형태의 초서도 등장했지만, 

일반적으로 알아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초서는 더 이상 발전하지 않고,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상형자(象形字 )


상형자는 사물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예를 들어, '人'은 사람의 모습을, '山'은 산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가장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글자 형태이며, 초기 한자의 주된 구성 방식이었습니다. 


 회의자(会意字 )


회의자는 두 개 이상의 글자를 합쳐 새로운 의미를 만든 글자입니다. 

예를 들어, '明'은 '日'과 '月'을 합쳐 밝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여러 글자의 의미를 종합하여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형성자(形声字)


형성자는 소리와 뜻을 함께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글자의 일부는 소리를 나타내고(음), 나머지 부분은 뜻을 나타냅니다(형). 예를 들어, '河'라는 글자에서 '氵'는 물과 관련된 뜻을, '可'는 소리를 나타냅니다. 

한자의 대부분이 형성자에 속하며, 한자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오늘
202
어제
992
최대
4,419

· 북경 · 서안 · 항주 · 심양 · 길림 · 낙양
· 장가계 · 성도 · 중경 · 상해 · 광주 · 청도
· 하문 · 소주 · 곤명 · 계림 · 라싸 · 심천
· 여강 · 대련 · 장춘 · 귀주성 · 남경 · 석가장
· 안휘성 · 천진 · 해남도 · 하얼빈 · 호북성 · 청해성
· 정주 · 신강 · 산서성 · 녕하 · 강서성 · 감숙성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버전 문의: 070-8098-5566
Copyright © 차이나 가이드. All rights reserved.